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미디어위원회
2020-07-13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Evidence of Hebrews in Egypt)

by Gary Bates


    매투린(Mathurin M.)이라는 독자가 게리 베이츠(Gary Bates, GB)의 글을 읽고, CMI에 다음과 같은 메일을 보내왔다 :

안녕하세요! 저는 고대 이집트를 몇 년 동안 공부해온 사람입니다. 나는 개신교 기독교인이며, 2017년에 귀하의 웹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어 기뻤습니다. 저는 한 질문이 있는데, 게리 베이츠라는 분이 저에게 답을 해주실 수 있을 런지요?

이집트 연대기가 일부라도 성경 연대기와 일치하나요?


[GB] 감사하다. 나는 이 방면의 전문가는 아니지만, 최선을 다하여 답을 하겠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고대 이집트 연대기에 대해서 크게 의견이 나뉘어져 있다.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서 인용된 날짜가 성경과 일치하는가를 묻는 것은 약간 어려운 문제이며, 아마도 부적절한 질문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는 심각한 오류가 있어서, 개정이 필요하다는 광범위한 합의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시작하기 전에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알아야 한다.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제가 설명을 시작하기 전에, 특히 고대 이집트의 역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표1을 참고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CMI)가 동의하지 않는 세속적 연대이지만, 적어도 이집트 역사가 나누어지는 기간과 순서를 이해하는 데는 도움이 된다.

표1 : 표준 이집트 연대기


한 '왕국(Kingdom)'는 이집트 전체가 중앙 군주제 아래 연합된 때를 말한다. 중간기(Intermediate Period)는 이집트가 다른 통치자들 밑에서 서로 분열된 시기였거나, 경제적으로 쇠퇴할 때였거나, 외국인들이 그 나라의 일부를 통치했던 시기였다. 예를 들어, 신왕국(New Kingdom, 제18~20 왕조)은 이집트의 부와 영향력이 전례 없는 높은 수준에 이르렀던 시기였다.

두 연대기가 어떤 종류의 일치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집트 역사 자체와 우리가 알고 있는 실제 성경적 사건이나 인물의 관련성을 살펴보아야 하고, 그 후에 성경적 연대기와 일치시킬 수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가장 알고 싶어하는 것들은 출애굽 당시의 바로나 요셉과 아브라함 시대의 인물들이다. 그러나 이집트인들은 자신의 왕과 신에게 바쳐진 기념비에 노예나 외국인 그룹의 세부 사항을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시 말해, 이집트인들이 히브리인들의 거주에 대해 침묵했다고 해서, 그것을 불성실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집트는 결국 제18왕조 중반(BC 1450년경)부터 히브리인들과 심지어 노예인 이스라엘 백성(하비루/이스라엘, Habiru/Israel)을 언급하고 있다. 이것은 그 시기에 그들이 이집트를 떠났을 가능성이 높고, 출애굽이 그 당시에 일어났음을 암시할 수 있다. 우리가 성경적 사건이 일어났던 연대를 결정할 수 있다면, 그리고 이집트 역사에서 성경에 언급되어 있는 동일한 사건이나 인물을 찾을 수 있다면, 연대기를 비교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애굽 이후 얼마간 시간이 흐른 후에, 성경은 솔로몬 왕과 그의 아들 르호보암이 이집트의 시삭왕(King Shishak)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었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이 왕에 대한 성경적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열왕기상 11:40; 14:25; 역대하 12:2~9).

우리가 먼저 해야할 일은 시삭이 누구인지 알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이집트에는 시삭이라는 이름의 바로(pharaoh)는 없다.

그러나 프랑스의 위대한 고고학자였던 샹폴리옹(Champollion, 1790~1832년, 로제타석(Rosetta Stone) 비문을 해독한 사람)은 이집트 왕궁의 대문(大門, portal)에 조각된 글을 해독하여, 이집트 제3중간기(Third Intermediate Period) 제22 왕조의 첫 번째 바로가 셰숑크(Shoshenq, 쇼생크)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제22왕조는 제3중간기의 두 번째 이집트 왕조였다. 이 시기는 이집트 왕 람세스 11세(제20왕조)의 죽음으로 시작되어, 이집트가 대혼란에 빠졌던 시기이다. 셰숑크 1세 왕과 함께 모든 것이 정리되었고, 그는 다시 한 번 고대 근동에 대한 정벌을 시작했다. 테베스/룩소르의 카르나크(Karnak) 신전에 있는 '부바스티스 대문(大門)에 적힌 비문(Bubastite Portal)'의 '전리품 목록(booty list)'에는 요르단 지역에서 정복한 약 180개의 도시들 이름이 나와 있다. 이 중 43개는 분열왕국 시대의 유다와 이스라엘의 도시로 알려진 도시들과 왕들의 이름이 있다. 읽을 수 없는(훼손되어) 많은 이름들도 있었으므로, 전체 그림이 명확하지는 않다. 제3중간기의 왕들은 리비아 출신이었으며, 그들은 초기 이집트 통치하에서 원래 장군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부바스티스 자체도 리비아의 도시였다. 발굴된 상태가 좋지 않아, 셰숑크 왕의 대문에서는 읽을 수 없는 도시들에 대한 많은 부분들이 있어서, 전체 그림을 평가하기는 어렵다.

.이집트의 바로 셰숑크의 비문(Shoshenq inscription)


샹폴리옹은 셰숑크 왕궁 대문의 비문에서, 유대인 또는 유다왕국으로서, 이우다하말렉(Ioudahamalek) 또는 예후드말렉(yehudmalek)이라는 일련의 상형문자(y-w-d-h-m-r-k)를 해독했다. 그러므로 그는 이집트의 셰숑크 1세가 분열왕국시대에 도시들을 약탈했던 성경에 언급된 시삭(Shishak)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집트연대 수정주의자(기독교 신자는 아님)인 데이빗 롤(David Rohl)은 이 해석이 틀렸으며, 대문의 비문이 예루살렘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셰숑크는 시삭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배경 지식

솔로몬 왕의 통치 이후, 그의 아들 르호보암은 그를 계승하여 분열왕국에서 유다의 왕이 되었다. 솔로몬이 감독자로 임명했던, 그리고 해로운 영향을 미쳤던, 여로보암은 솔로몬 왕의 진노를 피하여 이집트의 시삭 왕에게 도망가서 이집트 공주와 결혼했다. 성경은 그가 이집트의 신성한 황소 신인 아피스(Apis)와 므네비스(Mnevis)를 숭배하는 일에 익숙해졌다고 지적한다.

“이러므로 솔로몬이 여로보암을 죽이려 하매 여로보암이 일어나 애굽으로 도망하여 애굽 왕 시삭에게 이르러 솔로몬이 죽기까지 애굽에 있으니라” (왕상 11:40).

데이빗 롤의 주장인 카르나크에 있는 셰숑크의 부조(浮彫, relief)에서 예루살렘이 언급되지 않은 것이 맞더라도, 이것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성경 기록에 의하면, 이집트의 시삭이 그 도시를 정복하지는 않았지만, 르호보암이 약탈을 막기 위해 미리 전리품을 그에게 넘겨줬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시삭이 오고 있다는 일련의 보고들... 시삭은 유다의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심판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고 있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에게 회개할 시간을 주었다.(대하 12:2~5). 그들은 함께 모여 회개하고 겸비해진다.(대하 12:6).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이 회개할 때, 늘 하시듯이 심판의 정도를 낮추셨으며, 진멸하지 않고 단지 정복당하고 약탈당하게만 하셨다.(대하 12:7-8).

“그 때에 유다 방백들이 시삭의 일로 예루살렘에 모였는지라 선지자 스마야가 르호보암과 방백들에게 나아와 이르되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나를 버렸으므로 나도 너희를 버려 시삭의 손에 넘겼노라 하셨다 한지라 이에 이스라엘 방백들과 왕이 스스로 겸비하여 이르되 여호와는 의로우시다 하매 여호와께서 그들이 스스로 겸비함을 보신지라 여호와의 말씀이 스마야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그들이 스스로 겸비하였으니 내가 멸하지 아니하고 저희를 조금 구원하여 나의 노를 시삭의 손을 통하여 예루살렘에 쏟지 아니하리라 그러나 그들이 시삭의 종이 되어 나를 섬기는 것과 세상 나라들을 섬기는 것이 어떠한지 알게 되리라 하셨더라 애굽 왕 시삭이 올라와서 예루살렘을 치고 여호와의 전 보물과 왕궁의 보물을 모두 빼앗고 솔로몬이 만든 금 방패도 빼앗은지라” (대하 12:5~9).

나는 시삭이 예루살렘과 유다의 도시들을 파괴하지 않는 댓가로, 솔로몬의 금 방패를 포함하여 많은 보물들을 가져갔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도시가 파괴되지 않았다면, 셰숑크의 대문에 쓰인 비문에 언급되지 않았던 이유가 될 수 있다. 사실이 그렇다면, 예후드말렉(yehudmalek)이라는 상형문자는 올바른 해석이 아니며, 그것은 유다의 도시가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것에 지나치게 의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y-w-d-h-m-r-k는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나는 시삭이 예루살렘과 유다의 도시들을 파괴하지 않는 댓가로, 솔로몬의 금 방패를 포함하여 많은 보물들을 가져갔다고 생각한다.

나는 CMI의 개빈 콕스(Gavin Cox)의 도움을 받아, 문제의 상형문자를 조금 더 조사했다. 이집트 언어에는 모음이 없기 때문에, 대개 사람들은 표현되는 소리의 이미지를 '강요' 받게 된다. 그런 다음 그것들을 우리가 이해하는 알파벳 문자와 동일시한다.

우선, 우리는 샹폴리옹의 원본을 프랑스어로 찾아서 해석했다. 샹폴리옹은 실제로 일부 사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왕’이나 ‘예루살렘’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내가 앞에서 말했던 '유대인이나 유다왕국'으로 인용하고 있었다.[1] 'y-w-d-h-m-r-k'의 음역은 흥미롭다. 현대에 우리는 m-r-k를 말렉malek), 또는 왕(king)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것은 옳지 않다. 개빈은 지적했다 :

“mrk로 발음되는 한 이집트 단어는 “제공하다, 주다”를 의미한다. 이것은 이집트어 월터부크(Wörterbuch, Wb 2, 113.3)와 디미트리 믹스(Dimitri Meeks) (Meeks, AL 78.1800)의 어휘사전에서 확인된다.”

따라서 아마도 상형문자 y-w-d-h-m-r-k의 더 나은 해석은 “유다가 제공한 것”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르호보암이 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는 예루살렘 도시와 유다의 수도가 약탈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시삭에게 공물을 바쳤다. 여기에는 솔로몬의 부(富)가 포함되었다. 셰숑크(시삭)(Shoshenq/Shishak)가 그것을 언급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우리는 이 단계에서 샹폴리옹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케네스 키친(K. Kitchen, see later)의 주장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반대 의견은 셰숑크가 여로보암의 북부 이스라엘 도시들도 역시 약탈했다는 것이다. 왜 그는 이전에 왕궁에서 보호해줬던 예전 친구의 도시들을 파괴했을까? 여기에는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이 있다. 여로보암은 솔로몬의 왕국이 분열되도록 했던 반란 후에 이집트로 망명을 했다. 그러나 그는 분열된 왕국의 왕으로 다시 돌아왔다. 그는 이제 더 이상 누구의 도움도 필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셰숑크를 조롱했을 수도 있었다. 결국, 그는 권력을 가진 왕이 되었다. 그러나 나는 성경적 맥락이 우리가 큰 그림을 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르호보암의 유다는 회개로 인해 하나님의 구원을 받은 것처럼 보이지만, 시삭은 여로보암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도구가 될 것이었다. 여로보암의 북이스라엘은 약탈당했지만, 르호보암은 공물을 바침으로써 살아남았다.


성경의 시삭 연대기

이 연대들은 서로 매우 가까워서, 성경 연대기와 훌륭하게 들어맞는다.

그러나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다음과 같다. 솔로몬은 그의 통치 제 4년인 BC 967년에 성전 건축을 시작했다. 우리는 출애굽이 BC 1446년(일부 창조론 그룹은 BC 1491년이라고 생각함)에 시작됐다고 믿으며(출 6:1), 이는 정확하다. 이는 솔로몬이 BC 971년에 왕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는 40년간을 통치했다. 이로 인해 그의 통치는 BC 931년경에 끝났다. 시삭은 BC 926년경 르호보암 통치 5년째에 유다를 침공했다. (전통적인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 의해서도 제18왕조 이후의 일부 연대들은 수십 년의 오차 내로 정확하다고 생각된다). 셰숑크 침략의 전통적인 연대 BC 925년이다. 이 연대는 서로 매우 가까워서, 성경 연대기와 훌륭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매우 존경받는 기독교인이며 이집트학의 대가인 케네스 키친(Kenneth Kitchen)은 이집트의 제3중간기에 관한 중요한 작업들을 수행했으며, 샹폴리옹의 해석이 정확하다고 주장했다. 많은 세속적인 이집트 학자들이 시삭과 쇼생크가 같은 인물이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였다는 사실은 놀라운 일일 수 있다. 그러나 데이빗 롤(David Rohl, 표준 이집트 연대기에 수정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동의함)은 시삭과 셰숑크가 같은 인물이라는 것은, 표준 이집트 연대기와 맞지 않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다. 그는 다른 사건들을 이용해 이집트 역사의 많은 부분의 연대를 새로 썼으며, 셰숑크(시삭)(Shoshenq/Shishak)의 동일 인물설은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BTW] 나는 베이츠의 글(Egyptian chronology and the Bible—framing the issues)을 읽었으며, 그것은 흥미로웠다. 또한, 나는 그가 상형문자를 읽을 수 있었는지, 이집트 원본을 읽을 수 있었는지를 물어보고자 한다. 나에게 있어 마지막으로 어려웠던 점은 베이츠 씨가 출애굽 시기에 대한 세 연대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그는 두 연대를 설명하고 있지만, BC 1491년 연대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어떤 사람은…생각하기를”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누가 '어떤 사람'이며, 출애굽이 BC 1491년이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와줄 수 있는가? 감사드린다. 


[GB] 아니다. 나는 아직 상형문자를 읽을 수 없다. 그러나 오늘날 전문가들조차도 한 상형문자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영국의 이집트학 전문가인 개빈 콕스(Gavin Cox)는 상형문자들을 읽는데 상당히 능숙하며, 앞에서 말했듯이 저를 많이 도와주었다. BTW 당신은 이집트 연대기가 성경적 연대와 일치하는지를 물었지만, 당신이 인용한 위의 나의 글은 그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고 있다. 독자들도 시간을 내어 이 글을 읽어보기를 권유한다.

또한, 나는 (출애굽 시기에 대한) 세 연대를 모두 옹호하지 않는다. 나는 여러 주장되는 연대들을 말했던 것뿐이고, BC 1491년은 다른 사람들이 주장하는 연대라고 말했다. 내가 선호하는 출애굽 연대는 전기연대설(출애굽 시의 바로를 람세스 2세로 보는 후기연대설(1279~1213년)과 비교하여)로 알려진 BC 1446(±1)년이다. 이것은 성경에서 합리적으로 추론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출애굽 연대에 대한 초기 견해로 잘 알려져 있다. 글을 쓰는 시점에 몇몇 CMI 직원들은 2020년 8월에 예정된 이집트 여행을 위한 가이드북을 작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썼다 :


연대기에 있어서 우리의 기준점은 BC 586(587)년이다. 이는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을 멸망시켰던 해이다. 이 날짜는 세속적 고고학에서 잘 입증되었으며, 성경의 역사에서도 확증되어 있다. 그러나 1년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BC 586년이 정확하다고 가정해 보자. 거기서부터 분열왕국시대, 통일왕국시대, 사사시대, 출애굽 시기, 이집트 체류, 아브라함에서 노아로 거꾸로 올라가면서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성경에 기록된 숫자에는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연대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참조: The biblical minimum and maximum age of the earth.)


이스라엘과 유다의 왕들

학자들은 남유다의 왕들과 북이스라엘의 왕들이 통치한 기간에 대해 논란을 벌이고 있다. 모든 작은 세부 사항들을 계산하면, 모호할 수 있는 오차 범위는 약 50년 이내이다. 그러나 여러 사람들이 세부 사항을 합리적인 수준의 정확도로 해결해주었다. 그리하여, BC 970년경에 솔로몬이 왕이 되었다고 안전하게 말할 수 있다.[2]


솔로몬의 성전 건축

열왕기상 6:1절은 성전 건축이 솔로몬 즉위 4년째에 시작되었다고 알려준다.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사백팔십 년이요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 지 사 년 시브월 곧 둘째 달에 솔로몬이 여호와를 위하여 성전 건축하기를 시작하였더라” (왕상 6:1)

따라서, 그들은 신중하게 연대를 계수했던 것처럼 보인다. 솔로몬의 성전 건축은 BC 966년경에 시작되었다.


출애굽 연대

열왕기상 6:1절은 또한 솔로몬이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온 지 사백팔십 년"에 성전을 짓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이것은 출애굽을 BC 1,446년(BC 966 + 480 = BC 1446년)으로 위치시킨다. 어떤 학자들은 이 480년이라는 숫자는 12×40년으로, 40년을 한 세대로서, 상징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성경에 “한 세대”를 40년이라고 말하는 곳은 없다. 이런 방식으로 이 구절을 해석하려는 시도는 성경 기자와 초기 교인들 모두에게 생소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솔로몬이 이스라엘 왕이 된 지 사 년 시브월 곧 둘째 달에 솔로몬이 여호와를 위하여 성전 건축하기를 시작하였더라”라는 성경 본문 자체는 이 연대가 상징적 의미로 쓰여진 것이 아님을 가리킨다.

더욱이 다른 두 계산도 BC 15세기의 출애굽 연대로 수렴된다. 첫째 계산으로, 사사기 11:26절은 우리에게 대략적인 계산을 할 수 있게 한다. 입다(Jephthah)는 암몬 왕의 도발에 비웃으며, 이스라엘이 지난 300년간 요르단 동쪽의 가나안 땅을 점령해왔었다고 언급한다. "이스라엘이 헤스본과 그 마을들과 아로엘과 그 마을들과 아르논 강 가에 있는 모든 성읍에 거주한 지 삼백 년이거늘..."(삿 11:26) 입다는 약 BC 1,010년경에 왕이 된 다윗 보다 이전 시기인, 사사기 후반부에 살았다. 입다와 다윗 사이에 얼마의 시간이 있었다고 보면('100년'을 추정치로 사용하자), 가나안 정복과 입다의 진술 사이에 300년, 그리고 광야 생활 40년이 있었으므로, 출애굽 시기는 대략 BC 1,440년경으로 넓은 오차 범위를 가지면서 수렴된다. 불확실성이 있다 하더라도, 오차의 수치가 무한정 늘어날 수는 없다. 출애굽은 이 연대에 가까워야만 한다.

둘째 계산으로, 열왕기상 6:1절의 480년에서 40년의 광야생활 기간을 빼고, 이스라엘 사람들이 그 땅에 정착하는 기간으로 1년을 허용한다면, 439년이 되는 해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해로부터 정확히 9번째(9×49=441) 희년 주기(Jubilee cycles)가 되는 해이다. 성전 건축이 한 희년에서 시작됐던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희년과 관련해서, 에스겔 40:1절에는 매우 흥미로운 말씀이 있다.

“우리가 사로잡힌 지 스물다섯째 해, 성이 함락된 후 열넷째 해 첫째 달 열째 날에 곧 그 날에 여호와의 권능이 내게 임하여 나를 데리고 이스라엘 땅으로 가시되”(겔 40:1)

“In the five and twentieth year of our captivity, in the beginning of the year, in the tenth day of the month, in the fourteenth year after that the city was smitten, in the selfsame day the hand of the LORD was upon me, and brought me thither.”(KJV) 

유대인의 새해인 '로쉬 하샤나(Rosh Hoshana)'(‘the beginning of the year’)가 유대력으로 1월인 티시리(Tishri) 10일에 시작하는 유일한 시기는, 희년 동안이다.(레위기 25:9) 성경 밖의 문헌에서, 탈무드(Talmud)와 세데르 올람(Seder Olam, 히브리어 역사서)은 이것이 17번째 희년이라고 말하고 있다.[3] 따라서 성전이 파괴되고 14년(BC 572년 또는 573년)은 희년이었다. 이 연도에 17번의 희년(17 × 49 = 833년)에 광야에서 40년을 합하면(573+833+40=1446), 계산되는 BC 1446년은 출애굽의 날짜이기도 하다.[4]

출애굽의 연대를 계산하는 세 가지 방법이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우리는 이 날짜를 1~2년의 오차 정도로 확실하게 취할 수 있다. 여기에는 학술적 토론의 여지가 있다. 다른 사람들은 다른 날짜 계산법을 옹호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모든 주장들을 다룰 공간이 없지만, BC 1446년에 출애굽을 했다는 사실은 복음주의자들에게 가장 널리 받아들여진 연대이며, 우리도 이에 동의한다.


[GB] 나의 설명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나는 출애굽 당시의 바로가 누구였는지, 그리고 요셉이 어떤 바로 밑에서 총리를 했는지에 대해 더 많이 쓸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것들은 앞으로의 글들에서 더 자세하게 논할 것이다.


Related Articles

Patterns of evidence: Exodus. A review

Egyptian chronology and the Bible—framing the issues

Resolving alleged conflicts between the Bible and other accounts of Egyptian history


Further Reading

Archaeology Questions and Answers


References and notes

1. Letters and Journals of Champollion the Younger, Paris (1909), pp. 160-163, gallica.bnf.fr/ark:/12148/bpt6k55516z/f195.image, accessed 4 February 2020. 

2. According to Thiel. See Thiele, E.R.,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Zondervan, Grand Rapids, MI, 1951 and Jones, F., 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 King’s Word Press, The Woodlands, TX, 1999. 

3. Young, R.C., Evidence for inerrancy from a second unexpected source: the Jubilee and Sabbatical cycles, Bible and Spade 21(4), 2008; biblearchaeology.org/research/exodus-from-egypt/2662-evidence-for-inerrancy-from-a-second-unexpected-source-the-jubilee-and-sabbatical-cycles. 

4. Petrovich, D., Amenhotep II and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pharaoh, The Master’s Seminary Journal 17(1):81–110, 2006; tms.edu/m/msj17.1.pdf. See also biblearchaeology.org/research/exodus-from-egypt/3147-amenhotep-ii-and-the-historicity-of-the-exodus-pharaoh. 


*참조 : 이집트 왕 시삭에 대한 어떤 증거가 발견된 적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0&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출애굽의 역사성을 확증하고 있는 영화, “출애굽의 증거들”이 개봉되었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0&bmode=view

“증거의 패턴: 홍해의 기적” - 성경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영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3156850&bmode=view

시내산의 위치에 관해 논란이 되고 있는 고고학적 장소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공개한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574870&bmode=view

모세를 찾아서 1, 2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1&bmode=view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2&bmode=view

성경이 진실이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66&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여리고의 성벽 : 고고학적 확인에 의하면 여리고성의 벽은 정말로 무너져 내렸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3&bmode=view

여호수아의 파괴 이후의 여리고 성 : 성경과 고고학의 일치.

http://creation.kr/archaeology/?idx=3837349&bmode=view

여호수아의 아이 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 또 다시 확인된 성경 기록의 정확성.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2&bmode=view

사울 왕의 아들 ‘에스바알(이스보셋)’의 이름이 새겨진 3,000년 전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4&bmode=view

이사야 선지자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 히스기야 왕의 인장에 이은 놀라운 발견!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7&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왕비 이세벨의 고대 인장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7&bmode=view

성경 속 이름의 인장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 느헤미야에 기록된 데마의 인장은 성경의 고고학적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0&bmode=view

예언자 발람의 존재를 증명할 어떤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2&bmode=view

스바 여왕 : 솔로몬은 이집트 파라오의 방문을 받았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5&bmode=view

솔로몬 왕이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는 성벽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5&bmode=view

솔로몬 왕의 구리광산에 대한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70&bmode=view

중국 삼성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제1성전 시대의 저수조가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76&bmode=view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출처 : CMI, 2020. 4. 28. (GMT+10)

주소 : https://creation.com/hebrew-egypt-evidence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